교육
대학원과정
대학원과정
교과과정 개요
최근 기술의 발전, 글로벌화,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등 환경 변화로 인해 산업공학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산업경영공학과는 전통적인 산업공학의 기반 위에 경영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산업경영공학은 조직의 효과적인 최적화와 지속적 개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지식 기반과 기술을 제공함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산업경영공학과 대학원에서는 SDM(System Design Management), OIM(Operations & Information Management), STM(Strategic Technology Management)의 3개 연구그룹 아래 △제품 라이프사이클 공학 △인간공학/휴먼컴퓨터 인터렉션 △경영과학 및 SCM △데이터마이닝 △금융공학 △서비스 사이언스 △전략적 기술경영 등 7개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SDM
친환경 및 제품의 경쟁력 관점에서 제품이 어떻게 설계되고 사용·폐기되는 가가 녹색성장의 핵심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제품 라이프사이클 공학 분야에서는 제품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제품 및 제품서비스의 설계·개발·생산·운용·폐기 및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며,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제품 정보획득 및 교환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및 인프라 구축 연구를 수행합니다. 주요 토픽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Product Lifecycle Analysis and Management
– Green Product & Product-Service Development(Eco-design)
– Sustainable Manufacturing
– Ubiquitous System Engineering(USE) and Product Lifecycle Information Infrastructure(UPLII)
인간공학/휴먼컴퓨터 인터랙션 분야에서는 사람의 신체적·생리적·인지적·감성적 측면에서 사용성과 사용자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인간중심적 디자인을 연구합니다. 교육 내용으로는 인체역학, HCI, 사용성 공학, 유니버설 디자인, 감성 디자인, 제품 설계 및 개발 등의 주제를 포함합니다. 최근에는 휴대폰 및 전자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평가, 사용자 경험 및 거주환경의 유니버설 디자인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OIM
경영과학 및 SCM 분야는 산업체 또는 공공부문의 시스템 생산성, 서비스 수준 향상 등에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들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합니다. 연구 분야는 공급사슬관리, 생산관리, 스케줄링, 로지스틱스, 품질공학, 시스템 성능분석, 시스템 설계, 수요예측, 자원 최적배분 등이며, 관련되는 기법으로 수리계획법, 탐색기법, 시뮬레이션, 마코브체인, 대기이론, 신뢰성이론, 시계열분석, 회귀분석 등이 있습니다. 현장의 적용성을 고려한 관리기술 개발에 역점을 두어 기업체 및 공공부문의 연구 과제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마이닝은 공학 및 기업 관련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 또는 지식을 추출하는 이론, 알고리즘 및 응용을 다룹니다. 최근의 데이터들이 거대하고 다차원이며 비균질함에 따라 기존 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워 새로운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는 예측·분류·군집 또는 연관규칙 등의 형태로 표현되며, 이와 같은 정보추출을 위하여 통계적/수리적기법,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등을 활용합니다. 주요 응용분야로는 품질예측, 사기거래 적발, 이탈고객 분석, 시장(고객) 세분화 등이 있습니다.
금융공학이란 금융시장과 관련한 혁신적인 수단과 절차를 설계·발전 및 보완하고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창조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입니다. 금융공학자는 다양한 수학적·공학적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주식·채권 등의 현물 시장과 이를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 시장을 분석하거나 개인이나 기업의 투자 관리, 금융기관의 금융위험 관리 등의 주제를 연구합니다. 특히 금융위험 관리 분야에서는 주가·환율 및 금리 변동 등에 따른 재무상의 여러 가지 위험을 파악하고 금융상품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위험을 회피(hedge)하는 방법 등을 연구합니다. 금융공학은 하나의 학문분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경영학(재무)·산업공학·응용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어우러진 융합학문입니다.
서비스 사이언스는 서비스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 산업공학 및 기술·경영·수학·사회과학 등 다양한 인접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려는 시도에서 탄생된 신학문 분야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 서비스의 운영, 서비스의 개선과 관련한 공학적 접근법, 그리고 고객 가치 경영 등을 포함합니다. 응용 분야로는 다양한 서비스 영역 중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하며 의료서비스, IT 및 통신서비스, 금융서비스, 물류서비스, 제조업서비스 등에 초점을 둡니다.
STM
기술을 활용한 전략적 경영을 총괄적으로 다루며, 정보경영전략과 기술경영전략 두 개의 소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보경영전략 분야에서는 급속도로 진전되는 정보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기술(IT)의 전략적 활용을 다룹니다. 정보기술의 발전과 역할 및 전략적 활용방안(SIS), 경영혁신전략(BPR/ERP/RE), 다양한 정보시스템(TPS, IPS, DSS, EIS, ERP)의 역할을 다루고 이를 활용한 SCM, CRM, EC/MC, KM 등의 다양한 분야를 섭렵합니다.
기술경영전략 분야에서는 기술혁신을 위한 미래기술, 기술예측, 기술전략, 기술아키텍처, 특허전략 등을 다룹니다. 또한 기술혁신의 원천·종류·패턴 등과 함께 시장진입 전략, 효과적 조직, 조직 간의 협력방안 등을 배웁니다. 실제 국내외 기업의 사례를 통해 기술혁신과 개발을 통한 기업의 전략적 우위를 학습합니다.
교과과정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