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0조원 규모인 세계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기 시장에서 10년 안에 톱3에 진입하겠습니다.”
김현준 뷰노 대표는 “AI를 이용해 뇌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알츠하이머를 진단할 수 있는 제품을 이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뷰노는 딥러닝을 이용해 진단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다음달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딥러닝은 컴퓨터가 무수한 데이터를 패턴화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이던 김 대표는 딥러닝을 의료 분야에 적용하고자 2014년 창업했다. 뷰노는 이미 AI 기반 의료기기로 식약처에서 제품 7종을 허가받았다. 이 중 5개는 유럽 CE 인증을 받았다.
‘뷰노메드 본에이지’는 2018년 국내 AI 기반 의료기기 1호로 허가받은 제품이다. 엑스레이 영상을 찍으면 AI가 제품 이름처럼 뼈 나이를 판독해준다. 김 대표는 “AI를 통해 90% 정확도로 뼈 나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뷰노는 망막, 폐, 전립선 등 진단 대상에 따라 제품을 나눠 출시했다.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신호를 통해 24시간 내 심정지 등 위급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알려주는 의료기기도 임상 중이다. ‘뷰노메드 딥브레인 AD’는 이달 초 식약처에서 제품 허가를 받았다. 이 제품은 MRI로 뇌 위축 정도를 확인해 알츠하이머로 인한 치매 발병 가능성을 예측한다. 정확도는 88%다. 그간 알츠하이머 치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선 1회 검사 비용이 100만원이 넘는 양전자단층촬영(PET)이 주로 활용됐다. 김 대표는 “PET 검사비의 절반이면 알츠하이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뷰노는 클라우드 과금 방식을 적용해 수익모델도 차별화했다. 기존 의료기기 업체들은 제품을 판매한 뒤 보수·유지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얻었다. 뷰노는 AI 진단 서비스를 클라우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터넷에 접속해 의료진이 진단 영상을 제출하면 중앙컴퓨터가 판독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뷰노는 판독 건수에 따라 사용료를 받는다. 김 대표는 “클라우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덕분에 중앙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면 모든 고객이 최신 버전으로 AI 진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21.01.19, 한국경제)
원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11991601